[Spring] 스테레오타입 어노테이션과 @RequestMapping
·
Spring
Spring에서 제공하는 스테레오타입 어노테이션은 개발자가 클래스의 역할을 명확하게 정의하고, 해당 클래스의 빈(Bean) 관리를 Spring 컨테이너에게 맡길 수 있게 해준다.이를 통해 코드의 구조화와 성능 최적화를 달성할 수 있다. 스테레오타입 어노테이션 종류@Component가장 범용적인 스테레오타입 어노테이션이다. 일반 객체를 Spring 컨테이너에서 관리하도록 할 때 사용한다. @Component를 상속받은 어노테이션@Component를 상속받은 어노테이션중  @Repository, @Service, @Controller 이렇게 3개를 정리해보려고 한다. @Repository는 데이터 액세스 계층(DAO)에서 사용한다.@Repositorypublic class MemberDAO {// 생략.....
[Spring] DispatcherServlet과 Spring MVC의 핵심 흐름 분석
·
Spring
이전 글 이어서 ..https://yn98.tistory.com/88 [Spring] DispatcherServlet, ViewResolver , DI 방식 정리이번 포스팅에서는 DispatcherServlet과 ViewResolver의 역할, 의존성 주입 방식, 그리고 JSP에서 스프링으로 넘어가는 과정에 대해 다루려고 한다. DispatcherServlet의 기본 구조 DispatcherServlet은 스프링 프레yn98.tistory.com앞선 글에서, DispatcherServlet에 알아봤다. 다시 DispatcherServlet에 대해 정리하자면, 앞에 글의 DispatcherServlet는 진짜 DispatcherServlet이 아니라 이해를 위해 임의로 코드를 작성한 것이다.실제 Disp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