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819 국비 내용 정리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구조
- 스프링
- 전자정부프레임워크
- 스프링 기반 자체 프레임워크
- => 구조가 다 똑같음
controller.jsp
>> JAVA에서 작업하자!
>> .java(서블릿,Servlet) == FrontController
HomeController, DispatcherServlet
톰캣(Server)에게 설정을 적용하는 방법
- xxx.xml (==설정파일) 등록
=> web.xml - .xml --->> @(==어노테이션, 애너테이션) 등록
@WebServlet("*.do")
// 톰캣(server)이 구동될때, xxx.do로 끝나는 요청에 대하여 FC를 호출하게됨
만약 서로 관련없는 코드들이 한 곳에 저장되어 있다면 ? (예시 : controller 코드를 하나의 파일안에 다 저장되어있다면 ?)
=> 응집도가 낮은 코드
== 서로 관련 없는 코드들이 한 곳에 저장되어 있다는 뜻
이렇게 되면, 1) 공동작업이 어렵게 된다.
2) 코드작업중에는 해당 페이지 내용 전부 접근 및 이용불가하게 됨
==> 가용성이 낮음 ex) 은행 점검시간 , 게임 패치
가용성이 낮아져서 사용자가 이용을 못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그 사실을 고지해야함
===> 응집도를 높여야함
XxxAction.java 로 나눠서 관리 == POJO( Plain Old Java Object )
★★ M,V,C 패턴으로 코드를 짜는 경우
- V - V (XXX 안됨)
- V - C - V (가능)
- V - C - C - C - V (가능)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DispatcherServlet, ViewResolver , DI 방식 정리 (0) | 2024.10.07 |
---|---|
[Spring] Spring DI와 비즈니스 로직 (2) | 2024.10.06 |
[Spring] Spring에서의 객체 관리: XML 설정 파일 vs 어노테이션 기반 DI (4) | 2024.10.04 |
[Spring] 의존성 주입 (0) | 2024.10.02 |
[Spring] 스프링 프레임워크 (1) | 2024.10.01 |